1. 기계를 활용한 원주율 계산 1

컴퓨터를 활용하여 원주율을 계산하기 위해서 사각형 면적과 원면적 비율을 활용하여 원주율(\(\pi\))를 도출한다.

즉, 가로세로가 2인 사각형내부에 반지름이 1인 원을 내접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그려본다.

# library(purrr)
# library(shape)
# library(tidyverse)
# library(hrbrthemes)
# library(extrafont)
# loadfonts()

## 1.1. 반지름 1인 원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r <- 1
par(pty="s")
emptyplot(c(0, 0),frame.plot=r)
plotcircle(r=r, mid=c(0,0), lwd=1, lcol="blue")
lines(x=c(0,1),y=c(0,0), lty=1, col="red")
lines(x=c(-1,1),y=c(0,0), lty=2)
lines(y=c(-1,1),x=c(0,0), lty=2)
axis(1)
axis(2)
text(x=0.5,y=0.2, labels=expression("r=1"), col="red")

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원 내부에 위치하면 원 내부면적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한다.

상기 두 면적의 비를 통하여 원주율(\(\pi\))를 다음과 같이 수식을 정리하여 도출한다.

\[\frac{\text{원 면적}}{\text{정사각형 면적}} = \frac{\pi \times r^2}{4 \times r^2}\] \(\pi\)에 관해 수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.

\[\pi = 4 \times \frac{\text{원 면적}}{\text{정사각형 면적}}\]

## 1.2. 피타고라스 정리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## 원
emptyplot(frame.plot=r)
plotcircle(r=r, mid=c(0,0), lwd=1,lcol="blue")
lines(x=c(0,1),y=c(0,0), lty=1, col="red")
lines(x=c(-1,1),y=c(0,0), lty=2)
lines(y=c(-1,1),x=c(0,0), lty=2)
axis(1)
axis(2)

### 피타고라스 정리
points(x=0.8,y=0.58,col="red", lwd=2)
lines(x=c(0,0.8), y=c(0,0), col="red", lwd=2)
lines(x=c(0.8,0.8), y=c(0,0.58), col="red", lwd=2)
lines(x=c(0,0.8), y=c(0,0.58), col="red", lty=2,lwd=2)
text(x=0.4,y=0.4,"c",col="red")
title(expression(c == sqrt(a^2 + b^2)))

2. 몬테카를로 모의실험

simulate_pi 함수를 만들어서 정사각형 길이가 2가 되기 때문에 -1에서 1사이 일양분포(uniform)에서 x, y 좌표 점을 무작위로 뽑아내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활용하여 원 내부에 위치하는지 원 외부에 위치하는지 파악한다. 이를 부울을 R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더하면 원내부 위치하는 점의 갯수가 되고 이를 전체 모의실험 횟수로 나누게 되면 원주율을 계산할 수 있다.

# 2.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-----------------------

simulate_pi <- function(iter = 1000) {
  
  x_pos <- runif(iter, min=-1, max=1)
  y_pos <- runif(iter, min=-1, max=1)

  xy_pos <- ifelse(x_pos^2 + y_pos^2 <= 1, TRUE, FALSE)
  
  pi_val <- 4*(sum(xy_pos)/iter)
  return(pi_val)
}

simulate_pi(1000000)
[1] 3.139988
# 3. 원주율 값 수렴 시각화  -----------------------
## 3.1. 데이터 준비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sim_iter_lst <- list()

for(i in 1:10^5) {
  if(i %% 100 == 0) {
    sim_iter_lst[[length(sim_iter_lst)+1]] <- i
  }
}

iter_v <- sim_iter_lst %>% unlist
pi_v <- map(sim_iter_lst, simulate_pi) %>% unlist

pi_df <- data.frame("반복횟수"=iter_v, "원주율"=pi_v)

DT::datatable(pi_df) %>% 
  DT::formatCurrency("원주율", currency ="", interval = 3, mark = ",", digits = 5)

모의실험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위키백과사전 원주율 값에 수렴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한다.

원주율: “3.1415926535897932384626433832795028841971”

## 3.2. 시각화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ggplot(pi_df, aes(x=반복횟수, y=원주율)) +
  geom_line() +
  theme_ipsum(base_family="NanumGothic") +
  labs(x="모의실험횟수", y="원주율값") +
  scale_x_continuous(labels = scales::comma) +
  geom_hline(yintercept = 3.1415926535897932384626433832795028841971, color="red")

3.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시각화

원주율을 계산하는 몬테카를로 모의실험 결과를 시각화해보자. 1,000회 난수를 추출하여 이를 앞서 계산한 로직에 맞춰 결과값이 원내부에 위치하면 검은색 점으로, 원외부에 위치하면 붉은색 점으로 표현하여 보자.

# 4. 모의실험 1000회 시각화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r <- 1
par(pty="s")
emptyplot(c(0, 0),frame.plot=r)
plotcircle(r=r, mid=c(0,0), lwd=1, lcol="blue")
lines(x=c(0,1),y=c(0,0), lty=1, col="red")
lines(x=c(-1,1),y=c(0,0), lty=2)
lines(y=c(-1,1),x=c(0,0), lty=2)
axis(1)
axis(2)
text(x=0.5,y=0.2, labels=expression("r=1"), col="red")

draw_point <- function(iter = 10) {
  
  x_pos <- runif(iter, min=-1, max=1)
  y_pos <- runif(iter, min=-1, max=1)
  
  for(i in seq_along(x_pos)) {
    if( x_pos[i]^2+y_pos[i]^2 <=1 ) {
      points(x_pos[i], y_pos[i], col="black")
    } else {
      points(x_pos[i], y_pos[i], col="red")
    }
  } 
}

draw_point(1000)

4. 함수 적분

수학 함수의 적분 문제를 푸는데 몬테카를로 모의실험을 동원해서 보자. 정의역이 \(x \in [0,1]\)으로 \(x\)가 0에서 1 사이이며, 함수 \(f(x)\)를 다음과 같이 정의해 보자.

\[f(x) = /sqrt{1 - x^2 }\]

정의역 구간 \(x \in [0,1]\)에서 함수 \(f(x)\)를 적분해 보자. 즉,

\[\int_0^1 \sqrt{1 - x^2 } dx = \frac{\pi} {4}\]

자세한 수학적 증명은 Integral of \(\sqrt{1 - x^2}\) using integration by parts를 참조한다.

4.1. 적분함수

integrte 함수를 활용해서 함수를 정의(pi_fn) 한 후 정적분 값을 통해 \(\pi\) 값을 계산한다.

## 1. 수식에 대한 수치해석 -----------------
pi_fn <- function(x) sqrt(1-x^2)

integration_val <- integrate(pi_fn, 0, 1) 

integration_val$value * 4
[1] 3.141593

4.2. 모의 실험

함수가 정의되었다면 모의실험을 통한 결과를 시각화해보자. \(pi_fn\) 함수가 정의되어 있으니 일양분포 난수를 넣어 pi_fn 함수값을 계산하여 평균을 낸다.

## 2. 모의실험 -----------------

pi_sim_lst <- pi_fn(runif(n=1000000)) * 4
mean(pi_sim_lst)
[1] 3.140017
## 3. 모의실험 시각화 -----------------
par(pty="s")
curve(pi_fn, 0,1)

draw_point(1000)

5. 뷔퐁 바늘(Buffon Needle)

뷔퐁의 바늘은 18세기에 뷔퐁 백작이 처음 제기한 문제로, 너비가 모두 같은 평행한 목재 널빤을 깔아 만든 마루가 있을 때, 그 마루 위에 바늘을 떨어뜨린다. 바늘이 널빤과 널빤 사이의 선을 가로지어 걸칠 확률은 얼마인가? 기하학 지식과 적분 지식을 가지고 수학적으로 풀 수도 있고, 컴퓨터를 활용하여 몬테카를로 모의 실험을 통해 원주율(\(\pi\))을 구할수 있다.

뷔퐁 바늘

\(d, \theta\)가 독립이기 때문에 결합확률분포함수를 적분하면 답을 구할 수 있다.

\[P(\frac{sin\theta}{2}>d) = \int_{0}^{\pi} \frac{sin \theta}{2} d \theta = \frac{-cos\theta}{2} \Big|^{\pi}_{0} = 1\]

확률을 구하게 되면 \(\frac{\text{내부 면적}}{\text{사각형 면적}} = \frac{\frac{2}{2}}{\frac{\pi}{2}}=\frac{2}{\pi}\) 가 된다.

5.1. 뷔퐁 바늘 모의실험 애니메이션

animation 팩키지 내부에 뷔퐁 바늘 모의실험 함수가 있어 이를 실행해서 뷔퐁 바늘 모의실험을 통해 \(\pi\)가 계산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. 자세한 사항 Simulation of Buffons Needle 참조한다. ani.options(nmax = 1, 1) 명령어 nmax=100 인자를 조정하면 애니메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.

#library(animation)
ani.options(nmax = 1, 1)
par(mar = c(3, 2.5, 0.5, 0.2), pch = 20, mgp = c(1.5, 0.5, 0))
buffon.needle()

5.2. 뷔퐁 바늘 모의실험 2

buffon_needle_sim <- function(needle_len=1, line_spacing=2) {
  distance <- runif(1, min = 0, max = line_spacing / 2)
  theta <- runif(1, 0, pi / 2)
  is_crossed <- distance <= needle_len / 2 * sin(theta)
  return(is_crossed)
}

is_crossed <- replicate(10^7, buffon_needle_sim(1, 2))

10^7 / sum(is_crossed)
[1] 3.139509

  1. Estimating Pi with R via MCS-Dart: A very simple example of numerical integration, illustrated and computed in R.

  2. Calculating Pi using Buffon’s Need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