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rossref 상호참조1Crossref 웹사이트를 통해서 과학기술 저작물 상호참조를 확인할 수 있다.
crossref.org에 대해서Metadata Retrieval 웹사이트에서 상호참조(Cross Reference)의 사용례를 확인할 수 있는데 한국어 동영상을 통해서 활용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.
## 환경설정 {#environment-setup}
usethis::edit_r_environ() 명령어를 통해서 “~/.Renviron” 파일을 열어 crossref_email=name@example.com 환경변수로 본인 전자우편주소를 등록한다.
library(tidyverse)
readRenviron("~/.Renviron")rcrossref 팩키지2rcrossref 팩키지를 통해서 Crossref REST API를 R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.
ICSE, “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ftware Engineering” 컨퍼런스 관련 ISSN 번호가 “2308-4235” 인데 rcrossref::cr_journals() 함수로 검색이 되지 않는다. 대신 “Information Sciences: Informatics and Computer Science Intelligent Systems Applications” 저널의 ISSN 번호를 검색해 “0020-0255”을 확인하고 관련 정보를 가져온다.
library(rcrossref)
# # ICSE ----------
# icse_issn <- "2308-4235"
# icse_details <- rcrossref::cr_journals(issn = icse_issn, works = FALSE)
# icse_details
# icse_issn <- "2331-8422"
info_sci_issn <- "0020-0255"
info_sci <- rcrossref::cr_journals(issn = info_sci_issn, works = FALSE)
info_sci %>%
pluck("data") %>%
select(title, publisher, issn, total_dois, deposits_funders_current) title publisher issn total_dois deposits_funders_current
1 Information Sciences Elsevier 0020-0255 12344 TRUE
works = TRUE로 두게 되면 해당 저널에 속한 논문에 대한 가져올 수 있는데… 앞서 total_dois에서 알 수 있듯이 10,000개가 넘어가기 때문에 10개만 표본으로 살펴보자.
info_sci_df <- rcrossref::cr_journals(issn = info_sci_issn, works = TRUE, limit=10) %>%
pluck("data")
info_sci_df %>%
listviewer::jsonedit()데이터 과학자 이광춘 저작
kwangchun.lee.7@gmail.com